고혈압은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를 말한다. 정상혈압은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이완기 혈압 정상참고치80mmHg 미만의 상태를 말하는데, 수축기 혈압 140mmHg는 우리에게 친숙한 단위로 변환시, 1cm2 면적당 190g의 무게가 눌러지는 것 인데, 200mL 우유 한 팩이나, 일반적인 종이컵 한컵 (약 180~190mL정도)의 무게가 올려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이 꽤 높아 부담이 될 만한 수치인데, 이게 지속적으로 혈관을 억누르는 상태인 것이다. 고혈압은 관상동맥질환과 뇌졸중, 신부전 등 전신에 걸쳐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키며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직접적으로 위협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혈압은 증상이 없으므로 ..
다이어트를 결심하고, 처음 3일에서 일주일 정도는 잘 하지만, 그 이후의 기간에는 여러가지 핑계거리와 예외적인 것들이 비집고 들어와 다시 체중을 원위치 시기키는게 대부분이다. 의지력은 한계가 있고, 잘못된 습관/식습관이 문제여서 그런 것 이다. 큰 의지력과 결심이 없더라도 몇 가지 원칙만 바꿈으로써 다이어트를 꾸준히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 사항들이 있다. 아래 다섯가지 사항들을 읽어보고, 식습관에 반영토록 하여 건강해 지도록 하자! 첫째, 채소, 버섯, 해조류를 밥상에 올려라 다이어트를 진행하다보면 가족이 허기를 많이 느낄 텐데, 이때 칼로리가 낮은 나물이나 버섯 등의 반찬들을 준비하면 공복감을 줄일 수 있다. 김과 미역 같은 해조류, 각각 한 종류의 나물과 버섯 반찬만으로도 비타민과 무기질 하루 권장량..
성장기 어린이는 신진대사에 필수적인 영양소 외에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도 섭취해야 한다. 그러나 섭취 능력과 소화능력이 어른에 비해 떨어지는 까닭에 매끼 많은 양을 섭취할 수 없고, 그렇다고 일상 식사만으로는 영양 필요량을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간식이 필요하다. 어린이들에게 알맞은 간식이 제공되지 못할 경우 나쁜 식습관이 생기고 영양 불균형도 초래할 수도 있다. 어린이에게 알맞은 영양 간식의 선택과 제공을 어떻 게 해야 할까? 첫째, 간식은 시간을 정해서 규칙적으로 준다. 간식을 불규칙하게 주면 다음 식사에 영향을 주어 생활리듬이 깨지기 쉽기 때문이다. 둘째, 세끼의 정규 식사에서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간식을 선택한다. 특히 성장기 어린이에게는 신체 구성에 필요한 단백질·칼슘·철분과 신체기능..
귀여운 아이들에게 좋은 것을 먹이고 건강하게 자라기를 원하는 것은 모든 부모의 공통된 마음일 것이다. 하지만 무지함과 편리함만을 쫒는 성향 때문에 즉석 조리된 저질의 가공식품, 과자, 아이스크림, 패스트푸드를 갖다주곤 한다. 이미 여러번 들어서 좋은 식품들이지만 잘 손이 안 가는 것이 사실. 어린이 성장과 발육에 좋은 아래의 11가지 식품을 간단히 알아보고, 이제부터는 가급적 좋은 식품을 고르도록 해 보자. 1. 우유와 유제품 우유는 하루 3컵을 마시면 성장기 어린이에게 필요한 칼슘과 단백질 필요량을 충족할 수 있을 정도로 영양이 풍부하다. 우유 안의 칼슘은 단백질인 카제인과 결합된 형태로 들어 있어 멸치나 새우 같은 다른 칼슘 식품보다. 흡수가 잘되고, 우유 속 유당과 아르기닌이 칼슘 흡수 율을 높인다..
계란 모양 “초콜릿 제품(Mini egg)” 섭취 시 질식 위험이 있으니 주의!1. 최근 영국에서 작은 계란 모양의 밀크 초콜릿 제품(제품명 : Mini egg, 제조사 : Cadbury)을 섭취하던 5세 어린이가 질식으로 사망하였다. - 문제의 제품 포장지에는 ‘질식 위험 경고표시’가 있습니다만 섭취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함 * 관련기사 : http://www.news.com.au/lifestyle/food/food-warnings/mum-warns-about-dangers-of-mini-eggs-after-claiming-her-daughter-choked-and-died-on-one/news-story/0d4db753af0e6af95e493d89553eb6..
1. 식사장애란?식사장애는 체중이나 체형에 지나치게 관심이 많고 식사 행동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장애이다. 식사장애에는 거식증, 폭식증, 폭식장애 등이 있다. 2. 식사 행동의 심각한 문제 - 살찌는 것에 걱정과 두려움을 느끼며 너무 적게 먹음 - 음식에 대한 자제력을 잃고 너무 많이 먹음 - 일부러 토하거나 설사약 등 약을 이용하여 먹은 음식을 비워 냄 3. 식사장애의 원인 - 날씬함을 원하는 사회와 대중매체의 영향 - 체중, 체형에 대한 지나친 관심 - 매일 체중 재기, 거울을 보며 자신의 모습을 자주 확인하기 - 체형에 대한 잘못된 인식 - 비만이 아닌데도 뚱뚱하다고 생각함 - 잘못된 식습관 - 굶기, 심한 다이어트,한꺼번에 많이 먹기,먹는 것으로 스트레스 풀기 - 가족과의 문제 - 부모님의 지나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