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아프리카돼지열병 때문에 조금은 관심에서 멀어진 듯 하지만 여전히 1종 법정가축전염병으로 무서운 가축전염병인 구제역. 농식품부에서는 그간의 시행착오와 누적된 현장 피드백을 바탕으로 좀 더 정교하게 다듬어진 SOP를 내 놓았다. 다른 정책 수립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지만 매번의 개정시에는 관계자,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현장과의 괴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애를 썼다. 지난 SOP 개정 이후, 올해(19년) 1월말에도 국지적인 발생은 있었지만 (안성 2건, 충주 1건) 29농가 2270두 정도의 가벼운(?) 살처분 조치로 잘 마무리가 되었다. 효과적인 백신이 있고, 빠른 방역조치가 뒷받침되어 잘 관리되는 것 같아 안심이다. 참고) 최근의 구제역 발생현황 정보공개 파일 효과적인 방역을 위한 행동지침이 잘 ..
우리나라에서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던, 멀고도 먼 아프리카에서나 있던 그 질병이 지난달 9월 17일 우리나라에도 발생하게 되었다. 그 전, 중국과 동남아를 넘어 북한에 발병 신고가 들어왔을 때부터 이미 머지않아 우리나라에도 생길 것은 예상했었지만 사건은 예상을 넘어 생각보다 빨리 왔다. ASF의 발병 원인으로는 발병국을 여행한 사람 (농장주, 외국인근로자 등), 불법휴대육류, 잔반, 야생멧돼지, 오염된 사료 등을 꼽고 있는데, 이번 발병의 경우, 최근 연천 인근 DMZ(민통선) 부근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사체에서의 ASF 항원 발견으로 북한의 야생멧돼지를 통해 옮겨왔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지금까지는 전혀 겪지 못했던 외래질병이던 아프리카돼지열병. 구제역은 백신이 개발되어 해당 및 인근농장 살처..
축/수산 분야의 항생제 내성 문제는 축산물 안전과 동물용 항생제 내성 문제 뿐만 아니라 공중보건학적으로도 중요한 이슈이다. 축산분야의 다제내성균의 인체로의 이행, 이른바 슈퍼 박테리아 문제라든지 환경오염문제 등 연관되는 문제는 많다. 따라서 수의과학검역본부와 식약처는 13년도부터 공동으로 축/수산분야의 항생제 판매량, 주요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 발생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올해 2018년도 보고서를 살펴보면, 작년 대비 가축 사육두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판매량은 증가하지 않아 실제 농가에서 사용된 항생제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전체적인 항생제의 사용 건수는 감소하였지만 특정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은 늘어난 것들이 보인다. 상세한 내역은 붙임 파일을 참고. 자료출처 : http://www.qia.g..
지난 6월 28일에 있었던 19년 상반기 가축전염병 중앙예찰협의회의 자료이다. 국내 축산동향, 가축전염병 발생 동향, ASF특성 및 진단, 시도 예찰협의회 자료 등으로 구성되어 우리나라 가축전염병 발생 전반에 대한 이해자료로 참고하면 좋다. 출처 : 검역본부 가축방역자료실
(SOP는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로써, 표준 행동방법/지침 이란 뜻이다)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간하는 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긴급행동지침의 최신본이다. (2018년 12월말 기준 개정) (기억하고싶지 않은 살처분의 안 좋았던 기억) 농식품부에서는 주요 법정가축전염병에 대하여 각 부처 및 조직별, 위기단계별로 상세한 행동지침을 만들어서 배포하고 있다. 본인이 방역업무를 맡았던 5년 전만 해도 SOP 내에서 상충되는 부분이나 표현이 애매하여 해석의 문제가 있는 곳이 있었는데, 시간이 지나고 여러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많은 부분이 업그레이드 되었다. (그간 고병원성 AI 발생현황 :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정권이 바뀌고, 17년 이후 생각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방역조치를 쏟아부은..
구제역 백신 접종관리 요령농장을 운영하는 축산인 중, 자신이 키우는 축종에 있어서 주사제를 적용하는 방법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기초적인 내용이지만 의외로 간과하는 경우가 적지 않아 기본 사항에 대한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약물의 적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주사 방법, 그 중 근육주사에 대해 설명한다.구제역 백신을 들어 주사 설명하였지만, 일반적인 주사제(항생제, 호르몬제 등도 마찬가지)의 근육주사 방법도 거의 동일하다. 보관, 운송, 사전준비 1) 구제역 백신은 반드시 직사광선을 피하고 냉장상태(2∼8℃)로 보관 - 백신이 얼거나 오랫동안 외부에 방치될 경우에는 백신의 성분이 손상되어 효능이 저하될 수 있음(시판되는 국내 구제역 백신)(수입완제 구제역백신의 일부) 2) 백신을..
2018년 3월 21일 기준, 농식품부의 구제역 SOP가 개정되었고, 홈페이지에 게재되었다. 작년 12월부터 관계기관의 검토 회의를 거치고, 두달간의 의견 조회를 통해 기존의 SOP의 부족한 점들을 상당히 개선한 구체적인 행동지침이 만들어졌다. 먼저번 개정된 AI SOP (17년 9월 5일 개정)에 실려있던 소독시설 관리, 거점소독시설 등록, 살처분 및 렌더링 요령 등에 대한 내용과, 역학조사 관련사항, 구제역 백신주 선정에 대한 검역본부 역할, 환경시료 항원검출된 축산시설에 대한 방역조치 등이 개정된 사안이다. (끔찍하고 가슴아픈 살처분의 현장) 방역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SOP가 뭔지도 모르고 있었는데 4년간 가축전염병 관련 방역업무를 담당하다 보니, 관련 법령과 함께 가장 많이 펴 보는 책이 SOP..
농식품부는 그간 방역여건의 변화를 반영하고 조류인플루엔자 방역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개선·보완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가축방역 추진을 위해 2017. 9. 4일자로 조류인플루엔자 긴급행동지침(AI SOP)을 개정하게 되었다. 이번 개정안에서는 100쪽이 넘는 부분에서 크고작은 개정을 하게 되었던데, 이런걸 작성하는 담당 실무자는 이 지침서를 만드느라 얼마나 고생했을지 공감이 된다. 우리나라 축산 방역 부문에 있어서 행동 기준이 되는 지침서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문구 하나하나도 정확하게 써야 하고 (앞에서 A라고 칭했던 것을 a라고 표현하는 등의 오류도 몇번이고 확인해서 써야 한다), 여러가지 편법과 회피술, 궤변과 같은 빠져나가는 논리를 막기 위해 엄밀하게 표현 - 때로는 두리뭉실하게 표현해서 광범위..
일본뇌염은 아시아 지역에서 어린아이들에게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병으로, 매년 3~5만명이 감염되고 약 30%의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물어 감염을 일으키는데, 대부분의 바이러스성 질환이 그렇듯 특별한 치료방법이 없다. 예방이 최선이므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고, 예방접종은 가급적 맞도록 하자. 이 녀석이 일본뇌염의 주요 매개체인 '작은빨간집모기'이다. 피를 너무 많이 빨아먹어 남는 피가 항문으로 빼짓이 나왔다. 일본뇌염은 일본을 비롯하여 동아시아 전역에 걸쳐 퍼져있는 전염병인데, 숙주인 모기가 많이 활동하는 시기에 특히 다발한다. 임상증상 일본뇌염은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걸렸을 경우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기에 알아보기 또한 쉽지 않다고 한다. 임..
잠잠하던 AI, 오늘 또 발생 신고가 들어왔다. 오늘(2.27) 들어온 신고는, 전북 익산의 6만5천수 육용종계 농장이었는데, 하림이라고 하는 대기업의 계열화 농가였다. 당분간 잠잠하면 위기단계가 '심각'단계에서 한단계 내려가 '경계'단계가 될 줄 알았는데, 또 다시 이 시간은 요원해졌다. 이번에는 작년~올해(16~17년)의 해외에서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1. 전체 AI 발생현황 : 총 56개국, 1,993건 구 분 H5 H5 N1 H5 N2 H5 N5 H5 N6 H5 N8 H5 N9 H7 N1 H7 N3 H7 N7 H7 N8 H7 N9 소계 국가수 13 20 3 7 7 37 1 1 1 1 1 1 93 발생건수 105 328 40 13 34 1,436 4 1 28 2 1 1..
AI의 발생이 잠잠하다싶으니 구제역이 요즘은 말썽이다. 구제역은 2.16일 현재까지 9개 농장에서 발생했고, 발생농장과 역학관련된 21농장의 소 1,425두가 살처분되었다. 최근 발생 후 마지막 살처분(2.12) 시기까지, 집중적인 차단방역과 백신 일제접종 조치가 이루어졌는데, 이번의 일련의 조치가 효력을 발휘하여 구제역 또한 기세가 한풀 꺾여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요즘 구제역 백신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이야기가 많은데, 사실 구제역백신은 꽤 훌륭한 백신이고, 제대로 접종이 이루어지고 관리된다면 구제역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검역본부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면, 백신 접종과 질병에 대한 좋은 자료가 많이 있는데, 그 중 쓸만한 자료를 가져와 보았다. 1. 구제역 백신 취급 및 접종요령 자료파..
현재까지 나와있는 가장 최근의 조류인플루엔자 긴급행동지침이다. (16년 7월 21일) 농식품부, 검역본부 홈페이지의 관련 자료실에서 제공한다. (원 자료실에서는 HWP, PDF를 모두 제공하는데 티스토리 블로그에서는 파일이 10mb밖에 안 올라가서 부득이하게 용량을 줄였다. 필요한 부분만 따서 편집해서 사용하고 싶은 사람들은 원 자료실의 링크를 걸어놓으니 여기서 받아서 활용하기 바란다) 농식품부 홈페이지의 자료실 링크 : http://mafra.go.kr/list.jsp?id=32554&pageNo=1&NOW_YEAR=2016&group_id=4&menu_id=72&link_menu_id=&division=B&board_kind=C&board_skin_id=C1&parent_code=71&link_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