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가격 꺾임 추세에 대한 뉴스 - 결국 수요 공급에 따라 움직인다
- 재테크 정보/부동산 뉴스 스크랩
- 2016. 7. 28. 23:54
어떤 물품과 서비스든지 시장에서는 수요과 공급의 법칙을 따르게 되는 것 같다.
인위적으로 이를 조절하려고 하면, 단기적으로는 이 법칙을 거스를 수 있지만 결국 늘어난 고무줄이 제자리를 찾아가듯, 적정 가격으로 회귀하는 것 말이다.
최근 (최근도 아니다, 7년이 넘게 쭈욱 그래왔으니) 상승일로에 있던 전세값이 진정세를 지나 하락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뉴스가 나왔다.
'미친 전세' 7년 6개월 만에 꺾였다 : 조선비즈 이석우 기자입력 16.07.27. 03:08 (수정 16.07.27. 08:17) http://m.media.daum.net/m/media/economic/newsview/20160727030829548 |
이 하락이 혹시나 거품의 시초일지, 일시적인 현상일지는 모르겠다.
다만, 수요 공급 시장의 법칙이 이제야 적용되어 반영되는 것 같다는 생각은 든다
전세가격이 급격히 내려가면?
1.단기측면의 효과 : 수요량보다 공급량이 초과되어 가격하락요인 발생. 최근 신규주택 공급물량증대로 전세물량에도 큰영향 미침
2.장기측면의 효과 : 과다공급증가 --> 역전세대란 -->전세금급락-->갭투자가의 자산가치(전세금)하락에 의한 세입자의 자금회수에 적신호 --> 기존전세금과 신규전세금의 차액을 채무낀 갭투자가들의 실질소득하락 --> 힘없는 서민 세입자만 힘들어지는 상황초래예정
집값이 떨어진다고 해서 마냥 좋지만은 않은 이유다.
'재테크 정보 > 부동산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부 발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보도자료 - 191216 (0) | 2019.12.16 |
---|---|
서울시, 오늘부터 주택 임대차 월세계약 조사 (16.8.1) (0) | 2016.08.01 |
뉴스 : 변호사는 공인중개업을 하면 안된다 (0) | 2016.07.25 |
160503-‘16년 1분기 상업용부동산(상가 등) 임대동향조사 결과 (0) | 2016.05.15 |
160510 - 경기고양, 서울서초ㆍ용산 등에 행복주택 1.3만호 신규확정 (0) | 2016.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