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산강 재첩서 기준치 초과 수은 검출과 미나마타병의 공포
- 전문지식, 팁과 강좌/수의학, 의학
- 2016. 8. 4. 10:06
오늘 뉴스를 통해, 포항의 형산강 재첩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수은이 검출되었는데 포항시 당국은 미온적인 초동 조치를 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중고등학교 생물시간에서, 가까운 나라인 일본에서 일어난 산업재해 정도로,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수은중독에 대해 좀 더 자료를 찾아보니 매우 무서운 중독증이라 경고의 의미로 글을 남긴다.
일본산 식품의 방사능 문제를 걱정할 게 아니라 국내산 수산물도 먹지 말아야 하는게 아닌가 걱정이 앞선다.
뭘 믿고 먹어야 하나? 그나마 믿을건 생협 물품밖에 없는 것 같아 씁쓸하다.
우리 가족들, 연우 연아가 이런 질환으로 고통받을 수도 있다는 걸 생각만 해도 진저리가 난다!
수은 초과검출 관련 소식 요약
[ 수은중독 – 미나마타병 ]
- 수은중독에 의해 발생하는 신경학적 증상과 징후를 특징으로 함
- 1956년 일본 구마모토현 미나마타시에서 메틸수은이 포함된 조개 및 어류를 먹은 주민들에게서 집단발생하면서 사회적 문제가 됨
- 2011년까지 공식적으로 2265명 환자 확인
- 증상 : 사지, 혀, 입술의 떨림, 혼돈, 진행성 보행실조, 발음장애, 감정변화 및 행동장애, 우울증 등으로 발현됨
- 치료 : 페니실아민(penicillamine)을 통한 체외 배출 외 뚜렷한 치료법 없음 |
(이 사진은 미국의 포토저널리스트인 윌리엄 유진 스미스가 미나마타병의 실상을 취재하며 찍은 사진으로서, 교과서에서 미나마타병을 설명할 때 빠짐없이 등장한다. 사진속의 도모꼬는 수은에 중독된 어머니로 인해 태어날 때부터 미나마타병을 가지고 있었으며, 76년 21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수은축적의 경로 모식도)
(고양이의 수은중독 임상증상 사진 : 신경증상의 일환으로 척추가 만곡되어 엉거주춤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내 가족이 이런 끔찍한 질병에 걸린다면 : 생각하기도 싫다..)
(어렸을 때부터 재첩국 좋아했고, 시원한 국물에 밥 말아먹거나 해장국으로도 즐겨찾았었는데...)
개 요
❍ 경북 포항 형산강 하구 채취 재첩에서 수은 기준치 이상 검출
- 6월 21일 수거한 재첩에서 수은 0.7mg/kg 검출 (기준치 : 0.5mg/kg)
- 포항지역 어민이 채취 → 중간유통업자 → 농협하나로마트 대구달성 등에 유통
- 대구달성 하나로마트는 달성군청 통보 후 즉각 전량 수거 폐기조치함
- 채취 어민은 검출 당시 60kg 정도 판매
❍ 포항시의 초동 대응 문제
- 6월말 기준치 이상 사실 통보 받고도 한달 넘게 적극적 대응 안함
- 섬안 큰다리 아래에서만 재첩 채취금지 현수막 게시. 그 외 지역에서는 그대로 채취
중금속 오염 우려
❍ 재첩채취지역 인근(섬안큰다리 일대) 환경
- 포항시 하수처리장, 소규모 철강가공업체 10여곳이 소재함
- 강 바닥의 중금속 오염 가능성 높을 것으로 의심
❍ 재첩 채취 및 판매현황 (16년 상반기 6.6t)
- 허가받은 11명의 어민이 도구를 이용해 채취중 : 현재는 조업정지 중
- 도구 미이용 맨손채취는 허가없이도 가능하여 추적 어려움
조치사항
❍ 8.3일, 포항시는 재첩 채취자 김씨를 대상으로 채취과정, 유통과정 등을 조사 후 결과에 따라 사법기관에 송치 예정
❍ 형산강 섬안 큰다리밑, 연일교 상류지점, 연일교 밑 등 3곳 재첩시료 1kg씩 채취후 2일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에 긴급 의뢰
❍ 조개 서식지 저질 샘플 채취 후 토질환경오염 여부 판단
❍ 중금속 기준치 이하 안정성 확보시까지 재첩 조업정지 결정
'전문지식, 팁과 강좌 > 수의학,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에서 15년만에 콜레라 발생. 콜레라는 어떤 질병인가? (0) | 2016.08.23 |
---|---|
2015년, 동물약품중 항생제 사용 및 내성 모니터링 보고서 (0) | 2016.08.12 |
질병발생과 방역조치에 대한 기초개념 (0) | 2016.08.04 |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 탄저병(炭疽病) 발생 보고 (0) | 2016.08.03 |
[구제역 역학자료] 2015~2016년 충남 돼지구제역 매몰지의 환경위험성 분석 (0) | 2016.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