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elfare of Cattle by Terry Engle, Donald J. Klingborg, DVM, Bernard E. Rollin October 2018 The Welfare of Cattle offers an accurate, detailed account of the ethical and welfare concerns related to the human use of cattle. There is currently no significant book dealing with the welfare of cows, animals often seen as archetypal paradigms of ‘farm animals’. Covering both beef and dairy cattle, ..
Bovine Tuberculosis by M Chambers, S Gordon, F Olea-Popelka, P Barrow April 2018 This book is contemporary, topical and global in its approach, and provides an essential, comprehensive treatise on bovine tuberculosis and the bacterium that causes it, Mycobacterium bovis. Bovine tuberculosis remains a major cause of economic loss in cattle industries worldwide, exacerbated in some countries by th..
Pig Health Pig Health by John Carr, Shih-Ping Chen, Joseph F. Connor, Roy Kirkwood, Joaquim Segalés May 2018 Maintaining the health of pigs is vital in pig farming and production. This new book written by experts from around the world focuses on the health of pigs, first with coverage of the disorders of pigs organised by clinical sign and body system. The book explores environmental medicine an..
Achieving Sustainable Production of Pig Meat (3 Volumes) Achieving Sustainable Production of Pig Meat (3 Volumes) Volume 1: Safety, Quality and Sustainability by Alan Mathew June 2018 Volume 2: Animal Breeding and Nutrition by Julian Wiseman October 2017 Volume 3: Animal Health and Welfare by Julian Wiseman March 2018 Pig meat is the most widely-consumed meat in the world. Previous growth in pro..
[서적] The Slaughter of Farmed Animals: Practical Ways of Enhancing Animal Welfare The Slaughter of Farmed Animals: Practical Ways of Enhancing Animal Welfare by Temple Grandin, Michael Cockram June 2020 From philosophical and ethical views on the slaughter of farmed livestock, to the intensely practical guidelines that need to be put in place to maximize animal welfare, this book provides a balan..
[서적] Advances in Breeding of Dairy Cattle by Julius van der Werf, Jennie E. Pryce December 2019 This collection reviews the latest research on dairy cattle genetics and advanced methods of genetic evaluation and selection. After an overview of genetic improvements achieved so far, Part 1 assesses the problem of inbreeding and genetic diversity in modern dairy cattle as well as opportunities for ..
The Quest to Conserve Rare Breeds: Setting the Record Straight by Lawrence Alderson June 2020 Since the middle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world has witnessed a succession of political and social disruptions. Globalisation, technological advancement, climate change, human migration, war and conflict – all have caused major worldwide upheavals. In this light, it’s unsurprising that conservation ..
꾸준히 개정되어 업데이트되고있는 농식품부의 구제역SOP이다. 구제역 SOP에는, 이미 상당히 체계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번 개정본은 기존의 SOP를 고도화하고, 그간 놓쳤던 틈새 사항들에 대한 추가 기술사항이 들어있다. 예를 들어 별지 서식에 '살처분 참여자에 대한 심리적,신체적 체크리스트'와 같은 것들이 추가되었고, 상황별, 주체별 행동 지침이 약간 변경되었다. 점차 진화하는 SOP를 보고 있으니 그만큼 업그레이드 된 우리나라 방역 역량이 느껴져 감회가 새롭다.
1년에 두번 업데이트되는, 가축전염병 중앙예찰협의회의 회의 자료다. 상기 회의는 검역본부에서 주관하여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회의인데, 각 분야의 전문가로 이루어진 협의회 위원간에 주요 가축전염병의 발생 동향을 공유하고 큰 틀에서 구제역,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등 법정가축전염병의 방역대책과 관련한 중요한 사항을 논한다. 이번 회의 자료에는 1. 20년 1분기 가축사육동향 2. 가축질병 발생동향 3. ASF제어 및 예방관리에 대한 특별발표 4. 지자체 및 세계 방역동향 이 들어있다. 여기에서 다루는 가축전염병은 모든 질병을 아우르는 것은 아니고, 법정가축전염병에 국한된다. 따라서 여기 속해 있지 않은 질병에 대해서는 따로 생각하여야 한다.
고혈압은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를 말한다. 정상혈압은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이완기 혈압 정상참고치80mmHg 미만의 상태를 말하는데, 수축기 혈압 140mmHg는 우리에게 친숙한 단위로 변환시, 1cm2 면적당 190g의 무게가 눌러지는 것 인데, 200mL 우유 한 팩이나, 일반적인 종이컵 한컵 (약 180~190mL정도)의 무게가 올려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이 꽤 높아 부담이 될 만한 수치인데, 이게 지속적으로 혈관을 억누르는 상태인 것이다. 고혈압은 관상동맥질환과 뇌졸중, 신부전 등 전신에 걸쳐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키며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직접적으로 위협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혈압은 증상이 없으므로 ..
다이어트를 결심하고, 처음 3일에서 일주일 정도는 잘 하지만, 그 이후의 기간에는 여러가지 핑계거리와 예외적인 것들이 비집고 들어와 다시 체중을 원위치 시기키는게 대부분이다. 의지력은 한계가 있고, 잘못된 습관/식습관이 문제여서 그런 것 이다. 큰 의지력과 결심이 없더라도 몇 가지 원칙만 바꿈으로써 다이어트를 꾸준히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 사항들이 있다. 아래 다섯가지 사항들을 읽어보고, 식습관에 반영토록 하여 건강해 지도록 하자! 첫째, 채소, 버섯, 해조류를 밥상에 올려라 다이어트를 진행하다보면 가족이 허기를 많이 느낄 텐데, 이때 칼로리가 낮은 나물이나 버섯 등의 반찬들을 준비하면 공복감을 줄일 수 있다. 김과 미역 같은 해조류, 각각 한 종류의 나물과 버섯 반찬만으로도 비타민과 무기질 하루 권장량..
지난번의 다이어트 식사 지침 13계명에 이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대표적인 식품들 8가지에 대해 써 보고자 한다. 다이어트 식단은 사실 별로 맛이 없다. 그도 그럴 것이 맛의 지표라고 할 만한 단맛, 짠맛, 감칠맛, 기름맛이 제외된 성분으로 된 식품들이 대부분이라 먹기에 괴롭게 느껴질 만도 하다. 하지만 사람의 입맛은 적응하면 또 간간한 맛의 이런 것들이 맛있게도 느껴진다. 본인도 지난번 다이어트 식이하던 시절, 처음에는 야채 위주의 식단이 어색했었는데 이내 적응하여 식사시간이 즐거웠던 기억이 난다. 물론 닭가슴살이나 참치 같은 것을 곁들여 먹어 그런 것일 수도 있다. 여기 나온 대표적인 식품들만 먹으라는 것이 아니고, 이것들의 섭취 비중을 점차 높여 가는게 관건이기에 한번 공부하여 조금이라도 이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