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농산물 구분 방법 (저농약-무농약-유기)
- 전문지식, 팁과 강좌/축산학
- 2016. 7. 7. 17:43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aglook.krei.re.kr) 에서 제공하는 유용한 인포그래픽이 있어서 즐겨찾아 보기 위해 기록을 가져왔다.
HACCP, 동물복지 등과 엠블럼이 똑같이 생기고, 문구만 바뀌어 있어 비슷비슷하게 보이지만, 엄연히 차이가 있다.
(다 비슷비슷해 보입니다)
네이버 어린이 지식백과에도 유기, 무농약, 저농약 농산물에 대한 설명이 잘 나온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43604&cid=47305&categoryId=47305
다음은 농업관측센터에서 제공하는 친환경 농산물을 구분하는 방법이 담긴 인포그래픽이다.
다음은 농산물품질관리인증원에서 소개하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설명이다.
친환경농산물 소개친환경농산물 이란?
친환경농산물의 종류
친환경농산물 종류 구분
축산물
|
축산물의 경우, 저농약, 무농약 구분이 아닌, 항생제를 기준으로해서 무항생제라는 개념이 적용되었다.
사실 무항생제축산물의 경우에도 치료적 목적으로는 항생제를 휴약기간 적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따라서 엄밀한 의미의 무항생제라고 표현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비유하자면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인데, 10기가 이후로는 데이터 속도를 제한하는 그런 것 같은 느낌?
--------------------------------------------------------
저는 개인적으로 해당 업무와 연관된 본인도 헷갈리는 이런 친환경 인증 제도를 일원화하고, 마크도 지금과는 다르게 운용하는게 어떤가 생각한다. 게다가 HACCP기준원(안전관리인증기준원), 농관원, 농식품부, 검역본부 등으로 분산되어 있는 관리주체를 하나로 통합하는 것도 필요한 것 같다.
'전문지식, 팁과 강좌 > 축산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우 : 폭염에 따른 고온기 가축 및 축사관리 요령 요약 (0) | 2016.07.28 |
---|---|
폭염에 따른 고온기 가축 및 축사관리 요령 (PDF자료) (0) | 2016.07.28 |
도축 전 가축의 절식 준수 여부 판단을 위한 가이드라인 (0) | 2016.07.07 |
돼지고기 저지방 부위 활용법 (0) | 2016.07.07 |
가짜 삼겹살 구분하는 방법 (0) | 2016.07.07 |